top of page

나의 30년후, 우리 아이의 60년 후를 생각합니다


현재 미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4천 8백만 명에 달합니다. 2060년에는 1억명으로 증가될 것이라고 합니다. 노령화는 어느 사회나 마찬가지 현상이겠지요. 다만 수많은 노인들이 소외되어 외롭고 우울하게 살다가 조용히 지평선 너머로 사라져 가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노인들의 자살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문제입니다. 가족들이 자주 부모를 방문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녀를 만난지 수 년이 지난 사람들도 많습니다. 배우자의 죽음을 견뎌내야 하고, 자녀들이 부모를 돌보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요즘 많은 노인들을 만나면서 자녀들이 아직 어릴 때 맺은 관계의 패턴이 부모의 노년까지 이어진다는 사실을 보게 됩니다. 자녀를 만나지 않는 어르신들도 많습니다. 왜 그렇냐고 물어보면 (간접적으로) 이렇게 답합니다: ‘일이 너무 바빠 아이들을 돌보지 못하다가 애들이 다 자라 버렸습니다.’ ‘내 희망을 아이에게 이뤄보려 하다가 아이와의 관계가 틀어져 버렸습니다.’ ‘아이들을 너무 차갑게 대했습니다.’ ‘내가 힘이 있고 능력이 있을 때는 자녀들이 그저 귀찮은 존재로만 여겨졌었습니다’…

자녀와 좋은 관계를 만들고 싶은 소망은 어느 부모에게나 마찬가지일 겁니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독립심을 키워가는 아이들, 그들과 좋은 관계를 갖기 위해서 부모들이 배우고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새삼 깨닫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에 있어서 존중과 따뜻함입니다. 한국 부모들은 너무 따뜻하다 못해 아이들의 의견을 무시합니다. 아이의 말은 듣지도 않고 자신이 생각하는 것이 아이를 위해 최선이라 여깁니다. 반면 미국 사람들은 대개 존중하지만 따뜻함이 조금 부족한 것 같습니다. 존중과 따뜻함을 겸비한 교육은 30년 후 나와 아이의 관계를 위해 필요한 준비입니다.

노인 관련 사역을 많이 하게 되면서 어릴 때 습관이 8,90대까지 간다는 사실도 새삼 경험합니다. 어릴 때부터 자기 몸과 옷, 환경을 관리하며 자란 사람들은 나이 들어서도 그렇게 합니다. 하지만 나이 들어 자기 몸을 관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수많은 물건과 쓰레기를 짊어지고 살아가는 사람들도 적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자기 자신과 환경을 돌보는 습관을 들이게 하는 것은 내 아이가 먼 훗날 노인이 되었을 때에도 혜택을 발휘할 겁니다. 물론 내 아이가 노인이 된다는 것, 상상하기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런 날이 분명히 옵니다. 내 아이, 내가 돌봐 주지 못하게 될 때에도, 주변에 돌봐 줄 사람이 없게 될 때에도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오늘부터 훈련합니다. 내 아이는 다르겠거니 하는 막연한 기대감을 버리고, 현실적으로 준비하고 훈련하는 사람만이 좀 더 밝은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음을 기억합니다. 스스로 자신을 돌보는 훈련은 우리 아이의 60년 후를 위해 필요한 교육입니다.

매일매일 너무 바빠 생각하고 돌아볼 겨를 없이 살아가는 우리들, 그러나 30년 후, 60년 후를 바라보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오늘도 몇 가지 중요한 것들을 놓치지 않고, 거기에 꾸준히 시간과 노력을 들이며 살아갑니다. 나의 30년 후를 진지하게 생각해 봅니다. 우리 아이의 60년 후를 구체적으로 그려봅니다.

Veritas Montessori Academy베리타스 몬테소리 아카데미 김철규 원장

Featured Posts
Recent Posts
Archive
bottom of page